고급 중국어 강좌

#읽어주는_漢詩-368 ★荷池 - 李奎報

HIIO 2024. 9. 14. 10:18

#읽어주는_漢詩-368

 

☆한시감상 ★荷池 - 李奎報

 

幽禽入水擘靑羅 (유금입수벽청라)
微動方池擁蓋荷 (미동방지옹개하)
한마리 새 물속에 들며 푸른 비단물결을 가르니
네모난 연못에 이는 작은 파문이 연잎을 감싸안네.

 

欲識禪心元自淨 (욕식선심원자정)
秋蓮濯濯出寒波 (추련탁탁출한파)
선심이 원래부터 스스로 맑은 것을 알고자 하니
가을 연꽃 반짝이며 찬 물결 속에서 솟아오르네.

 

 

幽禽--入水--擘青罗.mp3
0.03MB
微动--方池--拥盖荷.mp3
0.03MB
欲识--禅心--元自净.mp3
0.03MB
秋蓮--濯濯--出寒波.mp3
0.03MB
hc-1368 이규보-하지-2.mp3
2.34MB

<혜문 장로의 수다사 팔영에 차운한(次韻惠文長老水多寺八詠) 작품 가운데, 하지(荷池)>

백운거사(白雲居士) 이규보(李奎報)의 이 시는 <연꽃이 핀 못>이라는 작품이다. 그가 활동했던 시기는 《고려재조대장경》의 출판이 상징하듯이 불교문화의 절정기였다. 이런 문화적인 자양과 풍토에서 살아가던 그는 당대를 대표하는 거사였고 시인이었다. 한국문학사에서 선시가 본격적으로 등장했던 시대를 산 관계로 그의 시에는 제철 과일의 농익은 맛과 고차적인 불교 정서가 깃들어 있다.

기·승구의 주된 소재인 ‘고요한 곳에 사는 새[幽禽]’는 아마 물총새인 듯하다. 이 새는 한가한 못에서 먹이를 구하기 위해 물에 뛰어들었다. 이 때문에 푸른 물결에 파문이 생기고 이 파문으로 인해 연잎까지 흔들렸다. 이런 논리는 불교의 인연설인데, “한 송이 국화꽃을 피우기 위해 봄부터 소쩍새는 그렇게 울었나 보다”(서정주의 <국화 옆에서>)라는 시구에서 ‘소쩍새의 울음’이 ‘국화의 개화’를 이끌어냈듯이, 이 시의 새는 연못에 파문을 일으킨 원인이었다. 이 파문은 어리석은 중생의 흔들리는 마음을 상징하는 시어이지만 결국에는 연꽃의 개화를 인도하는 매개이기도 하다.

전·결구는 앞뒤를 바꾸어 “희디흰 가을 연꽃이 찬 물결 속에서 솟아오르는 것을 보니/ 선심이 원래부터 스스로 맑은 것을 알겠네”라고 읽으면 그 의미가 더욱 분명하게 다가온다. 부처님이 가섭에게 도를 전했던 염화시중(拈華示衆)의 고사가 연상되는 이 시에서 시적 화자는 연꽃에서 마음의 정체를 알아버린 도인이다. 밤이슬을 맞고 함초롬히 피는 연꽃은 선종이 수많은 화두를 숨겨놓은 깨달음의 창고였던 것이다. 선시는 상식으로 이해할 수 없다는 선입견을 가진 이들이 많지만 이규보의 이 선시는 너무나 자연스러운 데다 불교의 심오한 논리까지 분명히 담겨있어 시의 맛이 가을 햇살처럼 상쾌하다. 이 시는 불교를 문학이라는 그릇에 오롯이 옮겨 놓았기 때문에 진한 서정시의 감동과 선시의 향기를 동시에 전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