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3977

우수(雨水) / 박종영

우수(雨水) / 박종영 잿빛 구름이 눈물의 배를 띄운다.  호젓한 산비탈 아득한 고향 하늘, 그토록 융숭한 말씀 들고 오리나무 숲으로 찾아간 촉촉한 바람이 들썩거리는 새움을 간질인다  사랑의 신호인가? 긴 겨울을 이기고 돌아와 빛바랜 풍경을 주어 모으며 눅눅한 마음자리 씻기는 빗소리  푸석한 마음에 한줄기 강물로 기지개 켜는 오늘은 맑디맑은 우수(雨水)절기, 그대의 우수(憂愁)가 사라지는 날로 기쁨이네.

좋은 글 10:04:26

한시(漢詩)로 배우는 漢文과 중국어 - 1453 ★天官粘飯 - 李穡 - 2

#1453강 한시(漢詩)로 배우는 漢文과 중국어 ★天官粘飯 - 李穡 - 2 한시나 사서삼경등 한문의 명문장을 감상합니다.중국어와 한문, 한자를 익히며 한시를 즐겨보세요.좋은 글을 한문으로 읽어 마음과 정신의 풍요로움을.... 이 시는 두번째 절기인 우수 즈음의 일상을 그린 시이다. 내용:鍮盂封尙煖 (유우봉상난)朮飯嚼生涎 (출반작생연) 유기 사발에 담겨져 아직 따뜻하고찰밥을 씹으니 입에 침이 생겨나네.

산수유 피는 길목 - 박인걸

산수유 피는 길목 - 박인걸 샛노란 꽃망울 소복이 터져 봄빛을 한 아름 안고 오시네. 겨우내 깊이 잠자던 세상에 꽃 노래 하늘가에 울려퍼지네. 찬 바람 휘몰아치던 가슴에 포근한 기운 노란 숨결이여 겨우내 시달리던 고달픈 마음에 따스한 손길 다가오니 반갑네. 비탈길 무리지어 피어난 꽃 얼어붙은 마음까지 감싸네. 겨울 길 지친 나그네 가슴에도 노란 꽃 빛 따스하게 스며드네. 봄바람 너울진 숲길 마다 꽃송이 향기 머금고 웃고있네. 샛노란 환희의 꽃 파도가 메마른 가슴마다 물결쳐 넘치네. 닫아 두었던 완고한 마음에 봄빛 소낙비 되어 쏟아지네. 지치고 상한 마음마다 설렘과 두근거림으로 피어나네.

좋은 글 2025.02.17

한시(漢詩)로 배우는 漢文과 중국어 - 1452 ★天官粘飯 - 李穡 - 1

#1452강 한시(漢詩)로 배우는 漢文과 중국어 ★天官粘飯 - 李穡 - 1 한시나 사서삼경등 한문의 명문장을 감상합니다.중국어와 한문, 한자를 익히며 한시를 즐겨보세요.좋은 글을 한문으로 읽어 마음과 정신의 풍요로움을.... 이 시는 두번째 절기인 우수 즈음의 일상을 그린 시이다. 내용:雨水寅今半 (우수인금반)天官子未遷 (천관자미천) 우수인 오늘이 인월의 절반인데천관인 아들은 아직 옮기지 않았네.

#읽어주는_채근담-181 前集-第181章

#읽어주는_채근담-181 ☆ 菜根譚 前集-第181章 陰謀怪習 異行奇能 (음모괴습 이행기능)俱是涉世的禍胎 (구시섭세적화태)음모, 괴상한 버릇, 이상한 행동, 기이한 재주는모두 세상을 살아가는 데 재앙의 씨가 된다. 只一個庸德庸行 (지일개용덕용행)便可以完混沌而召平和 (변가이완혼돈이소평화)단지 하나하나 평범한 덕과 행동만이타고난 본성을 온전히 하여 화평을 부를 수 있다.

꽃은 눈물을 보이지 않는다 - 김승기

한국의 야생화 시집 (5) [울어본 자만이 꽃의 웃음을 듣는다]/終/結/詩/꽃은 눈물을 보이지 않는다 - 김승기바람에 흔들리고비에 젖어도꽃은 눈물을 보이지 않는다아물지 않는 상처피 흘릴지라도그저 삼키며 웃을 뿐,사랑과 증오욕망과 배신한낱 구름으로 흐르는이 세상 지상의 일,하늘에 올라 별이 될 때까지아픔도 미움도 놓아버리고활활 타오르는 불꽃으로어두운 땅 밝히는꽃은결코 눈물을 보이지 않는다

좋은 글 2025.02.14

명문장으로 배우는 漢文과 중국어 -1451 菜根譚 181章-2

#1451강 명문장으로 배우는 漢文과 중국어 - 菜根譚 181章-2 한시나 사서삼경등 한문의 명문장을 감상합니다.중국어와 한문, 한자를 익히며 한시를 즐겨보세요.좋은 글을 한문으로 읽어 마음과 정신의 풍요로움을... 이번 강은 세상을 사는 지혜를 주는 채근담입니다. 내용:只一個庸德庸行 (지일개용덕용행)便可以完混沌而召平和 (변가이완혼돈이소평화) 단지 하나하나 평범한 덕과 행동만이타고난 본성을 온전히 하여 화평을 부를 수 있다.

명문장으로 배우는 漢文과 중국어 -1450 菜根譚 181章-1

#1450강 명문장으로 배우는 漢文과 중국어 - 菜根譚 181章-1 한시나 사서삼경등 한문의 명문장을 감상합니다.중국어와 한문, 한자를 익히며 한시를 즐겨보세요.좋은 글을 한문으로 읽어 마음과 정신의 풍요로움을... 이번 강은 세상을 사는 지혜를 주는 채근담입니다. 내용:陰謀怪習 異行奇能 (음모괴습 이행기능)俱是涉世的禍胎 (구시섭세적화태) 음모, 괴상한 버릇, 이상한 행동, 기이한 재주는모두 세상을 살아가는 데 재앙의 씨가 된다.

#읽어주는_漢詩-391 ★立春 2 - 杜甫

#읽어주는_漢詩-391 ☆한시감상 ★立春 2 - 杜甫 春日春盤細生菜 (춘일춘반세생채)忽憶兩京梅發時 (홀억양경매발시)입춘날 춘반의 생채가 부드러우니홀연히 두 서울의 매화 피는 시절이 생각나네. 盤出高門行白玉 (반출고문행백옥)菜傳纖手送靑絲 (채전섬수송청사)고문에서 나온 소반은 백옥과 같고섬섬옥수로 건네주는 나물은 푸른 실과 같네. 巫峽寒江那對眼 (무협한강나대안)杜陵遠客不勝非 (두릉원객불승비)무협의 차가운 강변 어찌 눈으로 마주 하랴?언덕이 가로막아 나그네의 슬픔을 견딜 수 없네. 此身未知歸定處 (차신미지귀정처)呼兒覓紙一題詩 (호아멱지일제시)이 몸 돌아가 살 곳을 아직 모르기에아이 불러 종이를 찾아 시를 한 편 지어보네. 春日(춘일) : 봄날 곧 입춘春盤(춘반) : 입춘날 궁중에서 진상(進上)된 햇나물로 지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