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체 2158

#읽어주는_漢詩-405 ★田家 - 辛永禧

#읽어주는_漢詩-405 ☆한시감상 ★田家 - 辛永禧 打麥聲高酒滿盆 (타맥성고주만분)老人無事臥荒村 (노인무사와황촌)보리타작 소리 높고 동이에 술 가득해도노인은 할 일 없어 빈 마을에 누워 있네. 呼兒室下遮風慢 (호아실하차풍만)恐擾新移紫竹根 (공우신이자죽근)아이 불러 집 아래 거친 바람 막이 치게 한건옮겨 심은 자죽뿌리 흔들릴까 두려워서네.

한시(漢詩)로 배우는 漢文과 중국어 - 1503 ★田家 - 辛永禧 - 2

#1503 한시(漢詩)로 배우는 漢文과 중국어 ★田家 - 辛永禧 - 2 한시나 사서삼경등 한문의 명문장을 감상합니다.중국어와 한문, 한자를 익히며 한시를 즐겨보세요.좋은 글을 한문으로 읽어 마음과 정신의 풍요로움을.... 이 시는 여름 두번째 절기인 소만 즈음의 정경을 그린 시이다. 내용:呼兒室下遮風慢 (호아실하차풍만)恐擾新移紫竹根 (공우신이자죽근) 아이 불러 집 아래 거친 바람 막이 치게 한건옮겨 심은 자죽뿌리 흔들릴까 두려워서네.

한시(漢詩)로 배우는 漢文과 중국어 - 1502 ★田家 - 辛永禧 - 1

#1502 한시(漢詩)로 배우는 漢文과 중국어 ★田家 - 辛永禧 - 1 한시나 사서삼경등 한문의 명문장을 감상합니다.중국어와 한문, 한자를 익히며 한시를 즐겨보세요.좋은 글을 한문으로 읽어 마음과 정신의 풍요로움을.... 이 시는 여름 두번째 절기인 소만 즈음의 정경을 그린 시이다. 내용:打麥聲高酒滿盆 (타맥성고주만분)老人無事臥荒村 (노인무사와황촌) 보리타작 소리 높고 동이에 술 가득해도노인은 할 일 없어 빈 마을에 누워 있네.

#읽어주는_漢詩-404 ★阮郞歸(初夏) 2 - 蘇軾

#읽어주는_漢詩-404 ☆한시감상 ★阮郞歸(初夏) 2 - 蘇軾 綠槐高柳咽新蟬(녹괴고류열신선)薰風初入弦(훈풍초입현)푸른 홰나무 키큰 버들에 초여름 매미 목메이고훈훈한 바람이 현으로 불어오기 시작하네. 碧紗窓下洗沈煙 (벽사창하선침연)棋聲驚晝眠 (기성경주면)푸른 비단 창 아래 침향 향기 깨끗한데바둑 두는 소리에 놀라 낮잠을 깬다오. 微雨過 小荷飜 (미우과 소하번)榴花開欲然 (유화개욕연)가랑비가 지나가자, 작은 연잎 나부끼고,석류꽃은 불타는 듯 빨갛게 피려하네. 玉盆纖手弄淸泉 (옥분섬수농청천)瓊珠碎却圓 (경주쇄각원).연잎 맑은 샘을 여린 손으로 장난치니물방울 깨어졌다 다시 둥글어진다오. ○ 綠槐(녹괴) : 푸른 홰나무. 잎이 우거진 회화나무.○ 咽新蟬(열신선) : 초여름 매미가 목이 메다. 咽은 목멜 ‘열’.○..

한시(漢詩)로 배우는 漢文과 중국어 - 1501 ★阮郞歸(初夏) - 蘇軾 - 4

#1501 한시(漢詩)로 배우는 漢文과 중국어 ★阮郞歸(初夏) - 蘇軾 - 4 한시나 사서삼경등 한문의 명문장을 감상합니다.중국어와 한문, 한자를 익히며 한시를 즐겨보세요.좋은 글을 한문으로 읽어 마음과 정신의 풍요로움을.... 이 시는 여름 첫 절기인 입하 즈음의 정경을 그린 시이다. 내용:玉盆纖手弄淸泉 (옥분섬수농청천)瓊珠碎却圓 (경주쇄각원). 연잎 맑은 샘을 여린 손으로 장난치니물방울 깨어졌다 다시 둥글어진다오.

한시(漢詩)로 배우는 漢文과 중국어 - 1500 ★阮郞歸(初夏) - 蘇軾 - 3

#1500 한시(漢詩)로 배우는 漢文과 중국어 ★阮郞歸(初夏) - 蘇軾 - 3 한시나 사서삼경등 한문의 명문장을 감상합니다.중국어와 한문, 한자를 익히며 한시를 즐겨보세요.좋은 글을 한문으로 읽어 마음과 정신의 풍요로움을.... 이 시는 여름 첫 절기인 입하 즈음의 정경을 그린 시이다. 내용:微雨過 小荷飜 (미우과 소하번)榴花開欲然 (유화개욕연) 가랑비가 지나가자, 작은 연잎 나부끼고,석류꽃은 불타는 듯 빨갛게 피려하네.

#읽어주는_명심보감-188 ★省心篇 下 - 第25章

#읽어주는_명심보감-188 ☆ 明心寶鑑 ★省心篇 下 - 第25章 說苑云 (설원운)官怠於宦成 病加於小愈 (관태어환성 병가어소유)설원에 일렀다.관리는 벼슬에서 성공하면 게을러지고, 병은 조금 나은 데서 더하여진다. 禍生於懈惰 孝衰於妻子 (화생어해타 효쇠어처자)察此四者 愼終如始 (찰차사자 신종여시)재앙은 게으른 데서 생기며, 효는 처자를 보살피는 데서 약해진다.이 네 가지 것을 살펴서, 끝맺음을 처음처럼 신중히하라. ▶說苑: 漢나라 劉向이 편찬한 설화집. 君道, 臣述 등 20편 20권으로 되어 있다.▶官: 벼슬 관.▶宦: 벼슬 환.▶怠: 게으를 태.▶愈: ①나을 유 (~이 더 낫다) ②(병이) 나을 유. ③더욱 유. 여기서는 ②의 뜻으로 癒와 같은 말이다. 예]快癒.▶懈: 게으를 해. 예]精神解弛.▶惰: 게으..

명문장으로 배우는 漢文과 중국어-1499 明心寶鑑 11.省心篇 下 25章-2

#1499강 명문장으로 배우는 漢文과 중국어 - 明心寶鑑 11.省心篇 下 25章-2 한시나 사서삼경등 한문의 명문장을 감상합니다.중국어와 한문, 한자를 익히며 한시를 즐겨보세요.좋은 글을 한문으로 읽어 마음과 정신의 풍요로움을... 이번 강은 중국 고전에서 선현들의 금언(金言)·명구(名句)를 엮은 명심보감 11. 성심편입니다. 내용:禍生於懈惰 孝衰於妻子 (화생어해타 효쇠어처자)察此四者 愼終如始 (찰차사자 신종여시) 재앙은 게으른 데서 생기며, 효는 처자를 보살피는 데서 약해진다.이 네 가지 것을 살펴서, 끝맺음을 처음처럼 신중히하라.

명문장으로 배우는 漢文과 중국어-1498 明心寶鑑 11.省心篇 下 25章-1

#1498강 명문장으로 배우는 漢文과 중국어 - 明心寶鑑 11.省心篇 下 25章-1 한시나 사서삼경등 한문의 명문장을 감상합니다.중국어와 한문, 한자를 익히며 한시를 즐겨보세요.좋은 글을 한문으로 읽어 마음과 정신의 풍요로움을... 이번 강은 중국 고전에서 선현들의 금언(金言)·명구(名句)를 엮은 명심보감 11. 성심편입니다. 내용:說苑云 (설원운)官怠於宦成 病加於小愈 (관태어환성 병가어소유) 설원에 일렀다.관리는 벼슬에서 성공하면 게을러지고, 병은 조금 나은 데서 더하여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