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

차 마시기

HIIO 2014. 11. 2. 13:31

차를 맛있게 우리는데 중요한 요소로는 수질, 차의 품질, 우려내는 물의 온도, 투다(投茶)법, 우려내는 시간, 차 그릇 등이 영향을 미친다.

차의 맛은 사용하는 물에 따라서도 그 맛에 큰 차이를 나타내는데 칼슘이나 망간 등 광물질이 함유된 물을 사용하게 되면 침전이 생겨 혼탁해지고 염소가 많이 녹아 있을 때도 차의 맛과 향이 크게 달라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깨끗한 샘물이 가장 바람직하고 경도가 낮은 연수가 적당하다. 현대생활에서는 정수기물을 많이 이용하며 수돗물을 쓸 경우는 일단 물이 끓기 시작하면 주전자 뚜껑을 열고 1~3분 더 끓여 염소를 휘발시킨 후 찻물로 이용하는 것이 좋다.

차의 품질과 물의 온도 관계는 고급녹차의 경우 카테킨 용출을 억제하고 감칠맛을 내는 아미노산 성분이 잘 우러나도록 저온(50~60℃)으로 침출시켜야 하고 저급녹차는 감칠맛을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에 열탕으로 단시간에 침출시켜야 한다. 일반적으로 녹차는 다른 차에 비해 70~80℃의 낮은 온도로 우려서 떫은 맛 성분이 적게 우러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엽이 많이 부서진 심증차의 경우는 차를 우려낼 때 온도를 낮게 하거나 우려내는 시간을 짧게 하는 게 바람직하다.

차를 우리는 시간은 1~2분 정도로 증제차는 덖음차보다 약간 짧게 해야 하는데 이는 덖음차가 곡형으로 되어 있어 용출되는 시간이 더 걸리기 때문이다. 차와 물을 차 그릇에 넣는 것을 투다라고 하는데, 순서에 따라 상투(上投), 중투(中投), 하투(下投)로 구분한다. 상투는 물을 넣고 차를 그 위에 넣는다는 뜻이고, 중투는 물을 반쯤 넣고 차를 넣은 다음 다시 물을 넣는다는 뜻이며, 하투는 차를 먼저 넣고 물을 붓는다는 뜻이다. 상투는 더운 여름에, 하투는 추운 겨울에, 중투는 봄가을에 적당한 방법이다. 이렇듯 외부온도에 의해서도 차맛이 변하는데 오늘날에는 차를 넣고 물을 넣는 하투법이 널리 쓰인다.
생활차
를 내는데 있어서 차 그릇은 그렇게 중요하게 생각하지는 않지만 실제 같은 차를 같은 조건에서 차 그릇을 달리하여 차를 우려낼 때 차의 색상과 맛, 향 모두가 큰 차이를 나타낸다. 녹차는 발효가 되지 않아 차엽성분이 그대로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보온력이 강하면 떫은맛이나 쓴맛을 내는 성분이 많이 용출 된다. 뜨거운 물을 부었을 때 빨리 식는 보온력이 약한 자기(磁器)계통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반발효차인 우롱차는 보온력이 강한 사기계통이 적당하다.

1인을 기준으로 했을 때 차 2g에 50cc의 끓는 물을 70~80℃로 식힌 뒤 1~2분 가량 두었다가 찻잔에 따라 마시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다. 차는 기호식품이기에 맛에 대한 기준이 개인 취향에 따라 차이가 있다. 그러나 여러번 행하다 보면 쉽게 본인이 내고 싶은 차맛을 낼 수 있다.

▶ 1인 다기 사용법
1. 1인 다기는 바쁜 현대인들을 위해 간편하게 녹차를 마실 수 있게 한 실용적인 다기이다.
☞ 시간적 여유가 있으면, 찻잔을 미리 더운물로 조금 데워서 따뜻하게 하는 것이 좋다.
2. 찻잔 안의 거름망에 차를 2g정도 넣는다.
☞ 잎 녹차를 너무 많이 넣지 말고, 2g 정도로 알맞은 양으로 넣어야 한다.
3. 65~90℃의 더운물을 차를 적셔가면서 50㎖정도 붓는다.
☞ 온도는 차의 종류에 따라 다소 차이가 난다. 우전 차는 65℃내외, 세작은 70℃내외, 중작 및 대작은 80~90℃내외이며 발효차 일수록 높은 온도에서 마셔도 된다.
4. 뚜껑을 덮고 1분30초 ~ 2분 정도 지나 뚜껑을 열고 거름망을 들어내어 뚜껑 위에 놓는다.
☞ 차를 우리는 시간은 차의 종류와 초, 중탕 여부에 따라 다소 달라지지만 1분40초에서 3분 가량이다.
5. 찻잔에 우러난 차를 음미하고 두번, 세번 우려내어 마신다.
☞ 고급차(우전, 세작) 일수록 많이 우려도 향이 여전히 좋다.
보통 우전은 4번 , 세작은 3번 , 중작-대작은 2번 정도 우려내는 것이 적당하다.

▶ 전통 다기 사용법
1. 기본적인 다구 내놓기
☞ 기본적인 다구로는 다관(차 주전자), 숙우(물식힘 그릇) , 찻잔, 차시(차 숟갈), 퇴수기(버리는 그릇) , 다포(밑에 까는 수건) 등이 있다.
2. 숙우 데우기
☞ 먼저, 뜨거운 물을 숙우에 붓고 30초 ~ 1분 정도 데워준다.
3. 찻잔 데우기
☞ 숙우를 약간 데운 후, 그 물을 다시 찻잔에 부어서 찻잔을 데우면, 찻잔은 적당한 온도를 유지할 수가 있어서, 녹차가 금방 식는 것을 막을 수 있다.
4. 데운 물 퇴수기에 버리기
☞ 숙우와 찻잔을 데운 물은 퇴수기에 버린다.
5. 다관에 잎녹차 넣기
☞ 잎녹차를 차시(차 숟갈)에 퍼서 다관(차 주전자) 에 적당량을 넣는다. 잎녹차를 너무 많이 넣지 말고, 1인 기준으로 2g 정도로 해서 넣으면 적당하다.
6. 다관에 적당한 온도의 물 넣어서 차 우리기
☞ 60 ~ 80℃정도의 물을 다관에 넣어서 잎녹차를 우려낸다. 이때, 차를 우려내는 시간은 약 1분 ~ 1분40초 가량이 적당하다. 녹차를 너무 오랫동안 우려내면, 녹차 특유의 쓴맛과 떫은맛이 강해지므로 시간을 잘 지켜야 한다. 고급차(우전) 일수록 물의 온도는 낮게 하는 것이 더 좋다.
7. 우려낸 차를 숙우에 붓기
☞ 우려낸 차를 '차 거름망'에 한번 거쳐서 숙우에 붓게 되면 미세한 차잎 찌꺼기를 걸러낼 수가 있다.
8. 약간 식혀서 찻잔에 따르기
☞ 숙우에 담긴 녹차를 약간 식힌 후에 각각의 찻잔에 조금씩 나눠 가면서 2/3 정도 따르면 된다.
9. 찻잔에 우러난 차를 음미하고 두번, 세번 우려내어 마신다.
☞ 고급차(우전, 세작) 일수록 많이 우려도 향이 여전히 좋다.
보통 우전은 4 ~ 7번 , 세작은 3 ~ 5번 , 중작-대작은 2 ~ 3번 정도 우려내는 것이 적당하다.


첫째, 차를 공복에 마시는 것을 삼가야 한다.
둘째, 끓는 차를 마시는 것을 삼가야 한다.
셋째, 냉차를 마시는 것을 삼가야 한다.
넷째, 진한 차를 마시는 것을 삼가야 한다.
다섯째, 차를 우려두는 시간을 너무 길게 하지 말아야 한다.
여섯째, 우려내는 차수(次數)가 너무 많지 않아야 한다.
일곱째, 식전에 차를 마시는 것을 삼가야 한다.
여덟째, 식후 곧 바로 차를 마시는 것을 삼가야 한다.
아홉번째, 찻물로 약을 먹는 것을 삼가야 한다.
열번째, 묵은 차를 마시지 말아야 한다.


녹차의 경우쓴맛과 떫은맛을 가진 카페인과 폴리페놀이 높은 온도에서 잘 우러나 오고, 감칠맛을 가진 아미노산은 60도 정도에서 잘 우러나오기 때문에 너무 높지도 낮지도 않은 60~80도 정도의 물에서 우리는 것이 좋다.


 우롱차의 경우 향기가 뛰어난 차로 95도 이상의 높은 온도에서 우려야만 차의 향기를 만끽할 수 있다. 보이차를 비롯해 거칠고 늙은 잎으로 만든 차는 100도의 끓는 물에 바로 우려야 차가 잘 우러난다.

 

우리는 시간

 녹차의 경우 3분 이내에 대부분의 성분이 모두 우러나온다. 하지만 폴리페놀의 경우 계속적으로 우러나오는데, 시간이 오래될수록 폴리페놀은 차슬 쓰게 만들고 신선한 맛도 감소된다. 따라서 녹차의 유효성분과 맛을 적절히 취하기 위해서는 약 2~3분정도 우리는 것이 가장 적합. 녹차의 맛을 여러 잔에 거쳐 느끼고 싶다면 처음에 약 30초~1분만 우리고, 둘째 잔은 1분~1분 30초, 셋째잔은 1분 30초~2분 정도 우린다.

 우롱차의 경우 시간이 너무 길면 향기가 날아가 버리기 때문에 처음에 15초 미만으로 우리고, 다음잔부터는 시간을 약 10초 정도 늘려가며 적게는 5번 많게는 10번 이상까지 차를 우릴 수 있다. 우롱차는 뜨거운 물을 붓고 차향이 날아가지 않도록 바로 뚜껑을 닫아야 한다. 여러 번 우리다 향과 맛이 확연히 떨어지면 더 이상 우리지 않는다.

 티백 홍차의 경우 찻잎을 잘게 자른 경우가 많아 시간을 오래 두면 차 맛이 너무 강하고 쓰고 떫어지기 때문에 잠시 담갓다 마시는 것이 좋다.

 보이차 및 전차와 같은 긴압차는 향기보다는 깊은 맛을 즐기는 차로, 오래 우리면 맛이 매우 강해지므로 10초 이내로 우린다. 긴압차 또한 5번 이상 우려 마실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