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심보감 436

명문장으로 배우는 漢文과 중국어-1454 明心寶鑑 11.省心篇 下 19章-1

#1454강 명문장으로 배우는 漢文과 중국어 - 明心寶鑑 11.省心篇 下 19章-1 한시나 사서삼경등 한문의 명문장을 감상합니다.중국어와 한문, 한자를 익히며 한시를 즐겨보세요.좋은 글을 한문으로 읽어 마음과 정신의 풍요로움을... 이번 강은 중국 고전에서 선현들의 금언(金言)·명구(名句)를 엮은 명심보감 11. 성심편입니다. 내용:久住令人賤 (구주영인천)頻來親也疎 (빈래친야소) 오래 머무르면 사람을 천하게 만들고,자주 찾아오면 친함도 소원해지느니라.

명문장으로 배우는 漢文과 중국어-1447 明心寶鑑 11.省心篇 下 18章-2

#1447강 명문장으로 배우는 漢文과 중국어 - 明心寶鑑 11.省心篇 下 18章-2 한시나 사서삼경등 한문의 명문장을 감상합니다.중국어와 한문, 한자를 익히며 한시를 즐겨보세요.좋은 글을 한문으로 읽어 마음과 정신의 풍요로움을... 이번 강은 중국 고전에서 선현들의 금언(金言)·명구(名句)를 엮은 명심보감 11. 성심편입니다. 내용:良田萬頃 (양전만경)日食二升 (일식이승) 좋은 밭이 수백만 이랑이라도하루 먹는 것은 두 되일 뿐이니라.

명문장으로 배우는 漢文과 중국어-1446 明心寶鑑 11.省心篇 下 18章-1

#1446강 명문장으로 배우는 漢文과 중국어 - 明心寶鑑 11.省心篇 下 18章-1 한시나 사서삼경등 한문의 명문장을 감상합니다.중국어와 한문, 한자를 익히며 한시를 즐겨보세요.좋은 글을 한문으로 읽어 마음과 정신의 풍요로움을... 이번 강은 중국 고전에서 선현들의 금언(金言)·명구(名句)를 엮은 명심보감 11. 성심편입니다. 내용:大廈千間 (대하천간)夜臥八尺 (야와팔척) 천 칸이나 되는 큰 집이라도밤에 누우면 팔 척 뿐이요,

#읽어주는_명심보감-180 ★省心篇 下 - 第17章

#읽어주는_명심보감-180 ☆ 明心寶鑑 ★省心篇 下 - 第17章 康節邵先生曰 (강절소선생왈)有人來問卜 (유인래문복)如何是禍福 (여하시화복)강절 소선생께서 말씀하셨다.어떤 사람이 점을 물으러 찾아와서,화와 복이 어떠하냐 묻기에, 我虧人是禍 (아휴인시화)人虧我是福 (인휴아시복)내가 남에게 손해를 끼치면 화이고,남이 나에게 손해를 끼치는 것이 복이니라 하였다. ▶邵康節: 宋代의 儒學者. 이름은 雍, 자는 堯夫. 강절은 그의 시호이다. 李挺之에게 道家의 《圖書先天象數》의 학을 배워 신비적인 수학을 설파하였으며 또 이를 기본으로 한 經論을 주장했다. 王安石이 신법을 실시하기 전에 天津의 다리 위에서 두견새 우는 소리를 듣고 천하가 분주할 것임을 예견하였다 한다.▶如何: 어찌해야? 무엇과 같아야? 등등의 뜻이다.▶..

명문장으로 배우는 漢文과 중국어-1433 明心寶鑑 11.省心篇 下 17章-2

#1433강 명문장으로 배우는 漢文과 중국어 - 明心寶鑑 11.省心篇 下 17章-2 한시나 사서삼경등 한문의 명문장을 감상합니다.중국어와 한문, 한자를 익히며 한시를 즐겨보세요.좋은 글을 한문으로 읽어 마음과 정신의 풍요로움을... 이번 강은 중국 고전에서 선현들의 금언(金言)·명구(名句)를 엮은 명심보감 11. 성심편입니다. 내용:我虧人是禍 (아휴인시화)人虧我是福 (인휴아시복) 내가 남에게 손해를 끼치면 화이고,남이 나에게 손해를 끼치는 것이 복이니라 하였다.

명문장으로 배우는 漢文과 중국어-1432 明心寶鑑 11.省心篇 下 17章-1

#1432강 명문장으로 배우는 漢文과 중국어 - 明心寶鑑 11.省心篇 下 17章-1 한시나 사서삼경등 한문의 명문장을 감상합니다.중국어와 한문, 한자를 익히며 한시를 즐겨보세요.좋은 글을 한문으로 읽어 마음과 정신의 풍요로움을... 이번 강은 중국 고전에서 선현들의 금언(金言)·명구(名句)를 엮은 명심보감 11. 성심편입니다. 내용:康節邵先生曰 (강절소선생왈)有人來問卜 (유인래문복)如何是禍福 (여하시화복) 강절 소선생께서 말씀하셨다.어떤 사람이 점을 물으러 찾아와서,화와 복이 어떠하냐 묻기에,

#읽어주는_명심보감-179 ★省心篇 下 - 第16章

#읽어주는_명심보감-179 ☆ 明心寶鑑 ★省心篇 下 - 第16章 蘇東坡云 (소동파운)無故而得千金 (무고이득천금)不有大福 (불유대복)必有大禍.(필유대화) 소동파가 말하였다.아무런 까닭없이 천금을 얻는 것은큰 복이 있는 것이 아니라,반드시 큰 재앙이 있느니라. ▶故: 여기서는 명사로, 까닭 고.▶蘇東坡 : 蘇軾(1037년~1101년) 송나라의 문인으로 洵의 아들이자, 轍의 형으로, 이 세 사람을 ‘三蘇’라 부른다.그를 大蘇, 아우 철을 小蘇라고 하는데, ‘唐宋八大家’의 한 사람.동파는 그의 호인데 靜常齋, 雪浪齋라고도 하며 시호는 文忠이다.시에 능하고 經史에 통했다. 그의 학파를 蜀派라 한다.王安石의 新法을 반대하여 좌천되었으나 뒤에 哲宗에게 重用되었으며 시는 宋代의 제1인자로 손꼽히고 글씨와 그림에도 능했..

명문장으로 배우는 漢文과 중국어-1425 明心寶鑑 11.省心篇 下 16章

#1425강 명문장으로 배우는 漢文과 중국어 - 明心寶鑑 11.省心篇 下 16章 한시나 사서삼경등 한문의 명문장을 감상합니다.중국어와 한문, 한자를 익히며 한시를 즐겨보세요.좋은 글을 한문으로 읽어 마음과 정신의 풍요로움을... 이번 강은 중국 고전에서 선현들의 금언(金言)·명구(名句)를 엮은 명심보감 11. 성심편입니다. 내용:蘇東坡云 (소동파운)無故而得千金 (무고이득천금)不有大福 (불유대복)必有大禍.(필유대화) 소동파가 말하였다.아무런 까닭없이 천금을 얻는 것은큰 복이 있는 것이 아니라,반드시 큰 재앙이 있느니라.

#읽어주는_명심보감-178 ★省心篇 下 - 第15章

#읽어주는_명심보감-178 ☆ 明心寶鑑 ★省心篇 下 - 第15章 一派靑山景色幽 (일파청산경색유)前人田土後人收 (전인전토후인수)한 줄기의 청산의 경치가 그윽한데,앞사람의 전토를 뒷사람이 거두는구나. 後人收得莫歡喜 (후인수득막환희)更有收人在後頭 (갱유수인재후두)뒷사람은 거두어 얻은 것을 너무 기뻐하지 말라.바꾸어 거두어들일 사람이 다시 뒤에 있으니라. ▶派: (물)줄기, 갈래.▶景: 빛 경, 경치 경.▶景色: 景致와 같은 말로서 한 단어이다.▶幽: 그윽할 유.▶得: 의미가 收에 종속되어 넌지시 ‘가능’을 나타내는 助辭이다. 예컨대 見得, 說得 등이 이러한 경우에 해당한다.▶更: 다시 갱.▶頭: 여기서 "머리"라는 뜻이 아니라 앞에 붙은 명사를 구체화하거나 그 일부를 가리킬 때 관용적으로 붙이는 접미사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