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심보감 425

명문장으로 배우는 漢文과 중국어-1417 明心寶鑑 11.省心篇 下 15章-1

#1417강 명문장으로 배우는 漢文과 중국어 - 明心寶鑑 11.省心篇 下 15章-1 한시나 사서삼경등 한문의 명문장을 감상합니다.중국어와 한문, 한자를 익히며 한시를 즐겨보세요.좋은 글을 한문으로 읽어 마음과 정신의 풍요로움을... 이번 강은 중국 고전에서 선현들의 금언(金言)·명구(名句)를 엮은 명심보감 11. 성심편입니다. 내용:一派靑山景色幽 (일파청산경색유)前人田土後人收 (전인전토후인수) 한 줄기의 청산의 경치가 그윽한데,앞사람의 전토를 뒷사람이 거두는구나.

#읽어주는_명심보감-177 ★省心篇 下 - 第14章

#읽어주는_명심보감-177 ☆ 明心寶鑑 ★省心篇 下 - 第14章 子曰 (자왈)木受繩則直 (목수승즉직)人受諫則聖 (인수간즉성) 공자께서 말씀하셨다.나무가 먹줄을 좇으면 곧아지고,사람이 간언을 받아들이면 거룩해지느니라.  ▶繩: 노 승. 墨繩 : 목공이 줄을 바르게 치기 위한 도구. 먹줄.▶則: 앞 문장을 가정으로 해석한다.▶諫은 간할 간. 예]諫言.[출전]1) 《書經》에서 이 글과 비슷한 다음 글을 찾을 수 있다.《書經》 〈商書 說命 上 二章〉說復于王曰:「惟木從繩則正,后從諫則聖。后克聖,臣不命其承,疇敢不祗若王之休命?」2) 《孔子家語》 〈子路初見 第十九〉孔子曰:「夫人君而無諫臣則失正,士而無教友則失聽。御狂馬不釋策,操弓不反檠。木受繩則直,人受諫則聖,受學重問,孰不順哉?

명문장으로 배우는 漢文과 중국어-1410 明心寶鑑 11.省心篇 下 14章

#1410강 명문장으로 배우는 漢文과 중국어 - 明心寶鑑 11.省心篇 下 14章 한시나 사서삼경등 한문의 명문장을 감상합니다.중국어와 한문, 한자를 익히며 한시를 즐겨보세요.좋은 글을 한문으로 읽어 마음과 정신의 풍요로움을... 이번 강은 중국 고전에서 선현들의 금언(金言)·명구(名句)를 엮은 명심보감 11. 성심편입니다. 내용:子曰 (자왈)木受繩則直 (목수승즉직)人受諫則聖 (인수간즉성) 공자께서 말씀하셨다.나무가 먹줄을 좇으면 곧아지고,사람이 간언을 받아들이면 거룩해지느니라.

#읽어주는_명심보감-176 ★省心篇 下 - 第13章

#읽어주는_명심보감-176 ☆ 明心寶鑑 ★省心篇 下 - 第13章 國正天心順 (국정심심순)官淸民自安 (관청민자안)나라가 바르면 천심도 순응할 터이요,벼슬아치가 청렴하면 백성은 절로 편안할 터이다. 妻賢夫過少 (처현부과소)子孝父心寬 (자효부심관)처가 어질면 지아비의 허물이 적을 터이요,자식이 효도하면 아버지의 마음은 너그러워질 터이다.  狀元詩云國正天心順 (국정심심순)官淸民自安 (관청민자안)나라가 바르면 천심도 순응할 터이요,벼슬아치가 청렴하면 백성은 절로 편안할 터이다. 妻賢夫過少 (처현부과소)子孝父心寬 (자효부심관)처가 어질면 지아비의 허물이 적을 터이요,자식이 효도하면 아버지의 마음은 너그러워질 터이다.장원시에 일렀다.  ▶壯元及第: 우리나라에서는 "壯元"이라고 쓰고, 중국에서는 위에서처럼 "狀元"이라..

명문장으로 배우는 漢文과 중국어-1403 明心寶鑑 11.省心篇 下 13章-2

#1403강 명문장으로 배우는 漢文과 중국어 - 明心寶鑑 11.省心篇 下 13章-2 한시나 사서삼경등 한문의 명문장을 감상합니다.중국어와 한문, 한자를 익히며 한시를 즐겨보세요.좋은 글을 한문으로 읽어 마음과 정신의 풍요로움을... 이번 강은 중국 고전에서 선현들의 금언(金言)·명구(名句)를 엮은 명심보감 11. 성심편입니다. 내용:妻賢夫過少 (처현부과소)子孝父心寬 (자효부심관) 처가 어질면 지아비의 허물이 적을 터이요,자식이 효도하면 아버지의 마음은 너그러워질 터이다.

명문장으로 배우는 漢文과 중국어-1402 明心寶鑑 11.省心篇 下 13章-1

#1402강 명문장으로 배우는 漢文과 중국어 - 明心寶鑑 11.省心篇 下 13章-1 한시나 사서삼경등 한문의 명문장을 감상합니다.중국어와 한문, 한자를 익히며 한시를 즐겨보세요.좋은 글을 한문으로 읽어 마음과 정신의 풍요로움을... 이번 강은 중국 고전에서 선현들의 금언(金言)·명구(名句)를 엮은 명심보감 11. 성심편입니다. 내용:國正天心順 (국정심심순)官淸民自安 (관청민자안) 나라가 바르면 천심도 순응할 터이요,벼슬아치가 청렴하면 백성은 절로 편안할 터이다.

명문장으로 배우는 漢文과 중국어-1395 明心寶鑑 11.省心篇 下 12章

#1395강 명문장으로 배우는 漢文과 중국어 - 明心寶鑑 11.省心篇 下 12章 한시나 사서삼경등 한문의 명문장을 감상합니다.중국어와 한문, 한자를 익히며 한시를 즐겨보세요.좋은 글을 한문으로 읽어 마음과 정신의 풍요로움을... 이번 강은 중국 고전에서 선현들의 금언(金言)·명구(名句)를 엮은 명심보감 11. 성심편입니다. 내용:天若改常 (천약개상)不風卽雨 (불풍즉우)人若改常 (인약개상)不病卽死 (불병즉사) 하늘이 상도를 어기면바람이 불지 않아도 바로 비가 오고,사람이 상도를 어기면병이 들지 않아도 바로 죽어버리느니라.

#읽어주는_명심보감-174 ★省心篇 下 - 第11章

#읽어주는_명심보감-174 ☆ 明心寶鑑 ★省心篇 下 - 第11章 贓濫滿天下 (장람만천하)罪拘薄福人 (죄구박복인) 뇌물을 받는 일이 천하에 가득할지라도,박복한 사람만 죄로 잡히는구나. ▶贓: 장물 장. 뇌물받을 장.▶濫: 넘칠 람.▶贓濫: 谓贪贓枉法. 뇌물을 탐하여 법을 어김.▶拘: 잡을 구. 예]拘束.▶薄: 엷을 박. 예]薄福.▶罪拘薄福人: ‘罪는 拘薄福人이니라’로 끊어 읽으라.

명문장으로 배우는 漢文과 중국어-1390 明心寶鑑 11.省心篇 下 11章

#1390강 명문장으로 배우는 漢文과 중국어 - 明心寶鑑 11.省心篇 下 11章 한시나 사서삼경등 한문의 명문장을 감상합니다.중국어와 한문, 한자를 익히며 한시를 즐겨보세요.좋은 글을 한문으로 읽어 마음과 정신의 풍요로움을... 이번 강은 중국 고전에서 선현들의 금언(金言)·명구(名句)를 엮은 명심보감 11. 성심편입니다. 내용:贓濫滿天下 (장람만천하)罪拘薄福人 (죄구박복인) 뇌물을 받는 일이 천하에 가득할지라도,박복한 사람만 죄로 잡히는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