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어주는_漢詩-346 내가 동도(洛陽)에 분질이 되어, 살면서 한가로운 날이 많았다. 한가하면 곧 술을 마시고 취하면 곧 시를 읊었으니 만약 시가(詩歌)가 없으면 노래를 부르지 못할 것이다. 매번 생각이 날 때 한 편을 만들었는데 모두 14편이 되었다. 모두 주로 술에 관한 것으로 자작하며 즐기던 것이어서 ‘하처난망주(何處難忘酒)’와 '불여래음주(不如來飲酒)'로 이름 지었다. ☆ 한시감상 ★何處難忘酒七首 其三 - 白居易 何處難忘酒(하처난망주) 朱門羨少年(주문선소년) 어느 곳에서나 술을 잊기 어렵네. 귀문귀가 사람들 젊음을 부러워한다네. 春分花發後(춘분화발후) 寒食月明前(한식월명전) 춘분날 온갖 꽃 활짝 핀 뒤 한식날에 달은 눈앞에 밝기도하다. 小院廻羅綺 (소원회나기) 深房理管絃 (심방리관현) 작은 정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