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시 2083

명문장으로 배우는 漢文과 중국어-1446 明心寶鑑 11.省心篇 下 18章-1

#1446강 명문장으로 배우는 漢文과 중국어 - 明心寶鑑 11.省心篇 下 18章-1 한시나 사서삼경등 한문의 명문장을 감상합니다.중국어와 한문, 한자를 익히며 한시를 즐겨보세요.좋은 글을 한문으로 읽어 마음과 정신의 풍요로움을... 이번 강은 중국 고전에서 선현들의 금언(金言)·명구(名句)를 엮은 명심보감 11. 성심편입니다. 내용:大廈千間 (대하천간)夜臥八尺 (야와팔척) 천 칸이나 되는 큰 집이라도밤에 누우면 팔 척 뿐이요,

#읽어주는_漢詩-390 ★立春 1 - 杜甫

#읽어주는_漢詩-390 ☆한시감상 ★立春 1 - 杜甫 春日春盤細生菜 (춘일춘반세생채)忽憶兩京梅發時 (홀억양경매발시)입춘날 춘반의 생채가 부드러우니홀연히 두 서울의 매화 피는 시절이 생각나네. 盤出高門行白玉 (반출고문행백옥)菜傳纖手送靑絲 (채전섬수송청사)고문에서 나온 소반은 백옥과 같고섬섬옥수로 건네주는 나물은 푸른 실과 같네.

한시(漢詩)로 배우는 漢文과 중국어 - 1445 ★立春 - 杜甫 - 2

#1445강 한시(漢詩)로 배우는 漢文과 중국어 ★立春 - 杜甫 - 2 한시나 사서삼경등 한문의 명문장을 감상합니다.중국어와 한문, 한자를 익히며 한시를 즐겨보세요.좋은 글을 한문으로 읽어 마음과 정신의 풍요로움을.... 이 시는 첫번째 절기인 입춘의 정경을 그린 시이다. 내용:盤出高門行白玉 (반출고문행백옥)菜傳纖手送靑絲 (채전섬수송청사) 고문에서 나온 소반은 백옥과 같고섬섬옥수로 건네주는 나물은 푸른 실과 같네.

한시(漢詩)로 배우는 漢文과 중국어 - 1444 ★立春 - 杜甫 - 1

#1444강 한시(漢詩)로 배우는 漢文과 중국어 ★立春 - 杜甫 - 1 한시나 사서삼경등 한문의 명문장을 감상합니다.중국어와 한문, 한자를 익히며 한시를 즐겨보세요.좋은 글을 한문으로 읽어 마음과 정신의 풍요로움을.... 이 시는 첫번째 절기인 입춘의 정경을 그린 시이다. 내용:春日春盤細生菜 (춘일춘반세생채)忽憶兩京梅發時 (홀억양경매발시) 입춘날 춘반의 생채가 부드러우니홀연히 두 서울의 매화 피는 시절이 생각나네.

#읽어주는_漢詩-389 ★大寒 2 - 李瀷

#읽어주는_漢詩-389 ☆한시감상 ★大寒 2 - 李瀷 頸縮涔涔廢夙興 (경축잠잠폐숙흥)天時知道大寒仍 (천시지도대한잉)괴롭고 피곤해 목을 움츠리며 일찍 일어나지 않으니천시는 이치를 아는지라 대한이 그대로 따르네. 推求巧曆應先卜 (추구교력응선복)殿屎愚氓浪見憎 (전히우맹랑견증)역법에 밝은 사람은 응당 미리 점쳐 알았겠지만신음하는 백성들은 눈물흘리며 보듯이 싫어하네. 戶牖明生猶愛日 (호유명생유애일)硏毫冷透亦堅氷 (연호랭투역견빙)다만 겨울 햇살이 창호에 밝게 비쳐도벼루와 붓에 냉기 스며 꽁꽁 얼어붙었네. 朝來戱語資歡笑 (조래희어자환소)不是臨淵也戰兢 (불시림연야전긍)아침이 되어 우스개로 장난 삼아 말하노니연못 가에 가지 않아도 벌벌 떨리겠네. ※涔涔(잠잠) : 괴롭고 피로한 모양, 몸부림치며 괴로운 모양, 눈물·땀 ..

한시(漢詩)로 배우는 漢文과 중국어 - 1443 ★大寒 - 李瀷 - 4

#1443강 한시(漢詩)로 배우는 漢文과 중국어 ★大寒 - 李瀷 - 4 한시나 사서삼경등 한문의 명문장을 감상합니다.중국어와 한문, 한자를 익히며 한시를 즐겨보세요.좋은 글을 한문으로 읽어 마음과 정신의 풍요로움을.... 이 시는 마지막 절기인 대한의 정경을 그린 시이다. 내용:朝來戱語資歡笑 (조래희어자환소)不是臨淵也戰兢 (불시림연야전긍) 아침이 되어 우스개로 장난 삼아 말하노니연못 가에 가지 않아도 벌벌 떨리겠네.

한시(漢詩)로 배우는 漢文과 중국어 - 1442 ★大寒 - 李瀷 - 3

#1442강 한시(漢詩)로 배우는 漢文과 중국어 ★大寒 - 李瀷 - 3 한시나 사서삼경등 한문의 명문장을 감상합니다.중국어와 한문, 한자를 익히며 한시를 즐겨보세요.좋은 글을 한문으로 읽어 마음과 정신의 풍요로움을.... 이 시는 마지막 절기인 대한의 정경을 그린 시이다. 내용:戶牖明生猶愛日 (호유명생유애일)硏毫冷透亦堅氷 (연호랭투역견빙) 다만 겨울 햇살이 창호에 밝게 비쳐도벼루와 붓에 냉기 스며 꽁꽁 얼어붙었네.

#읽어주는_漢詩-388 ★新年祝 其三 - 鄭澈

#읽어주는_漢詩-388 ☆한시감상 ★新年祝 其三 - 鄭澈 新年祝新年祝 (신년축 신년축)所祝新年年穀豊 (소축신년년곡풍)새해엔 비나이다. 새해에는 비나이다.신년에 비는 바는 새해엔 곡식이 풍년들어 白屋更無民戚戚 (백옥갱무민척척)丹墀再聽樂肜肜 (단지재청악융융)초가집에선 백성들에게 근심걱정 다시 없고대궐에선 즐거운 풍악소리 다시 들려오길... 白屋 : 초가. 가난한 집. 혹은 庶民 丹墀는 붉은 칠을 한 궁전의 지대. 전하여 궁전, 대궐.      戚戚 : 근심하는 모양..   : 화평하고 즐거운 모양. 혹은 따뜻한 모양.

한시(漢詩)로 배우는 漢文과 중국어 - 1441 ★新年祝 其三 - 鄭澈 - 2

#1441강 한시(漢詩)로 배우는 漢文과 중국어 ★新年祝 其三 - 鄭澈 - 2 한시나 사서삼경등 한문의 명문장을 감상합니다.중국어와 한문, 한자를 익히며 한시를 즐겨보세요.좋은 글을 한문으로 읽어 마음과 정신의 풍요로움을.... 이 시는 원단을 맞아 백성과 나라의 안녕을 비는 시이다. 내용:白屋更無民戚戚 (백옥갱무민척척)丹墀再聽樂肜肜 (단지재청악융융) 초가집에선 백성들에게 근심걱정 다시 없고대궐에선 즐거운 풍악소리 다시 들려오길...

한시(漢詩)로 배우는 漢文과 중국어 - 1440 ★新年祝 其三 - 鄭澈 - 1

#1440강 한시(漢詩)로 배우는 漢文과 중국어 ★新年祝 其三 - 鄭澈 - 1 한시나 사서삼경등 한문의 명문장을 감상합니다.중국어와 한문, 한자를 익히며 한시를 즐겨보세요.좋은 글을 한문으로 읽어 마음과 정신의 풍요로움을.... 이 시는 원단을 맞아 백성과 나라의 안녕을 비는 시이다. 내용:新年祝新年祝 (신년축 신년축)所祝新年年穀豊 (소축신년년곡풍) 새해엔 비나이다. 새해에는 비나이다.신년에 비는 바는 새해엔 곡식이 풍년들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