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어강좌 2102

명문장으로 배우는 漢文과 중국어 -1422 菜根譚 178章-2

#1422강 명문장으로 배우는 漢文과 중국어 - 菜根譚 178章-2 한시나 사서삼경등 한문의 명문장을 감상합니다.중국어와 한문, 한자를 익히며 한시를 즐겨보세요.좋은 글을 한문으로 읽어 마음과 정신의 풍요로움을... 이번 강은 세상을 사는 지혜를 주는 채근담입니다. 내용:故君子不近惡事,亦不立善名 (고군자불근악사,역불입선명)只渾然和氣, 纔是 居身之珍 (지혼연화기,재시거신지진). 그러므로 군자는 나쁜 일에 가까이하지 않고 또한 좋은 이름도 내세우지 않나니,다만 온전한 화기만이 몸을 보전하는 보배가 되느니라.

명문장으로 배우는 漢文과 중국어 -1421 菜根譚 178章-1

#1421강 명문장으로 배우는 漢文과 중국어 - 菜根譚 178章-1 한시나 사서삼경등 한문의 명문장을 감상합니다.중국어와 한문, 한자를 익히며 한시를 즐겨보세요.좋은 글을 한문으로 읽어 마음과 정신의 풍요로움을... 이번 강은 세상을 사는 지혜를 주는 채근담입니다. 내용:標節義者,必以節義受謗 ( 표절의자,필이절의수방)榜道學者,常因道學招尤 (방도학자,상인도학초우) 절의를 표방하는 자는 반드시 절의로 인해 비난을 받고,도학을 표방하는 자는 항상 도학으로 인하여 허물을 부른다.

#읽어주는_漢詩-382 ★內閣應敎-冬至 1 - 丁若鏞

#읽어주는_漢詩-382 ☆한시감상 ★內閣應敎-冬至 1 - 丁若鏞 南至風光煖有餘 (남지풍광난유여)幾時堤柳任情舒 (기시제류임정서)동짓날 풍광이 따사롭기 그만인데제방 버들은 언제나 마음껏 피어날까 從他積雪三冬逼 (종타적설삼동핍)不禁微陽一氣噓 (불금미양일기허)삼동의 쌓인 눈이 핍박하거나 말거나희미하게 불어오는 양기는 막지 못하네.

한시(漢詩)로 배우는 漢文과 중국어 - 1420 ★內閣應敎-冬至 - 丁若鏞 - 2

#1420강 한시(漢詩)로 배우는 漢文과 중국어 ★內閣應敎-冬至 - 丁若鏞 - 2 한시나 사서삼경등 한문의 명문장을 감상합니다.중국어와 한문, 한자를 익히며 한시를 즐겨보세요.좋은 글을 한문으로 읽어 마음과 정신의 풍요로움을.... 이 시는 22번째 절기인 동지를 맞아 동지에 보는 봄을 그린 시이다. 내용:從他積雪三冬逼 (종타적설삼동핍)不禁微陽一氣噓 (불금미양일기허) 삼동의 쌓인 눈이 핍박하거나 말거나희미하게 불어오는 양기는 막지 못하네.

한시(漢詩)로 배우는 漢文과 중국어 - 1419 ★內閣應敎-冬至 - 丁若鏞 - 1

#1419강 한시(漢詩)로 배우는 漢文과 중국어 ★內閣應敎-冬至 - 丁若鏞 - 1 한시나 사서삼경등 한문의 명문장을 감상합니다.중국어와 한문, 한자를 익히며 한시를 즐겨보세요.좋은 글을 한문으로 읽어 마음과 정신의 풍요로움을.... 이 시는 22번째 절기인 동지를 맞아 동지에 보는 봄을 그린 시이다. 내용:南至風光煖有餘 (남지풍광난유여)幾時堤柳任情舒 (기시제류임정서) 동짓날 풍광이 따사롭기 그만인데제방 버들은 언제나 마음껏 피어날까

#읽어주는_명심보감-178 ★省心篇 下 - 第15章

#읽어주는_명심보감-178 ☆ 明心寶鑑 ★省心篇 下 - 第15章 一派靑山景色幽 (일파청산경색유)前人田土後人收 (전인전토후인수)한 줄기의 청산의 경치가 그윽한데,앞사람의 전토를 뒷사람이 거두는구나. 後人收得莫歡喜 (후인수득막환희)更有收人在後頭 (갱유수인재후두)뒷사람은 거두어 얻은 것을 너무 기뻐하지 말라.바꾸어 거두어들일 사람이 다시 뒤에 있으니라. ▶派: (물)줄기, 갈래.▶景: 빛 경, 경치 경.▶景色: 景致와 같은 말로서 한 단어이다.▶幽: 그윽할 유.▶得: 의미가 收에 종속되어 넌지시 ‘가능’을 나타내는 助辭이다. 예컨대 見得, 說得 등이 이러한 경우에 해당한다.▶更: 다시 갱.▶頭: 여기서 "머리"라는 뜻이 아니라 앞에 붙은 명사를 구체화하거나 그 일부를 가리킬 때 관용적으로 붙이는 접미사이다. ..

명문장으로 배우는 漢文과 중국어-1418 明心寶鑑 11.省心篇 下 15章-2

#1418강 명문장으로 배우는 漢文과 중국어 - 明心寶鑑 11.省心篇 下 15章-2 한시나 사서삼경등 한문의 명문장을 감상합니다.중국어와 한문, 한자를 익히며 한시를 즐겨보세요.좋은 글을 한문으로 읽어 마음과 정신의 풍요로움을... 이번 강은 중국 고전에서 선현들의 금언(金言)·명구(名句)를 엮은 명심보감 11. 성심편입니다. 내용:後人收得莫歡喜 (후인수득막환희)更有收人在後頭 (갱유수인재후두) 뒷사람은 거두어 얻은 것을 너무 기뻐하지 말라.바꾸어 거두어들일 사람이 다시 뒤에 있느니라.

명문장으로 배우는 漢文과 중국어-1417 明心寶鑑 11.省心篇 下 15章-1

#1417강 명문장으로 배우는 漢文과 중국어 - 明心寶鑑 11.省心篇 下 15章-1 한시나 사서삼경등 한문의 명문장을 감상합니다.중국어와 한문, 한자를 익히며 한시를 즐겨보세요.좋은 글을 한문으로 읽어 마음과 정신의 풍요로움을... 이번 강은 중국 고전에서 선현들의 금언(金言)·명구(名句)를 엮은 명심보감 11. 성심편입니다. 내용:一派靑山景色幽 (일파청산경색유)前人田土後人收 (전인전토후인수) 한 줄기의 청산의 경치가 그윽한데,앞사람의 전토를 뒷사람이 거두는구나.

#읽어주는_漢詩-381 ★大雪 2 - 曺兢燮

#읽어주는_漢詩-381 ☆한시감상 ★大雪 2 - 曺兢燮 大雪通宵下 (대설통소하)空階數尺深 (공계수척심)많은 눈이 밤새도록 내리더니빈 섬돌에 여러 자나 쌓였구나. 江山無自色 (강산무자색)造化亦何心 (조화역하심)강산의 본색이 사라져 버리니조화옹의 마음은 또 어떠할까. 北澗開銀穴 (북간개은혈)南榮簇玉簪 (남영족옥잠)북쪽 개울엔 은 동굴이 열렸고남쪽 처마엔 옥비녀가 무리지어있네. 孤舟足乘興 (고주족승흥)閉戶更沈吟 (폐호경침음)외로이 떠있는 배에 감흥이 일어서문 닫고 다시 시를 나직이 읊조리네.  大雪 二首 대설 이수 曺兢燮 조긍섭큰 눈을 읊다 2수 大雪通宵下 (대설통소하)空階數尺深 (공계수척심)많은 눈이 밤새도록 내리더니빈 섬돌에 여러 자나 쌓였구나. 江山無自色 (강산무자색)造化亦何心 (조화역하심)강산의 본색이..

한시(漢詩)로 배우는 漢文과 중국어 - 1416 ★大雪 - 曺兢燮 - 4

#1416강 한시(漢詩)로 배우는 漢文과 중국어 ★大雪 - 曺兢燮 - 4 한시나 사서삼경등 한문의 명문장을 감상합니다.중국어와 한문, 한자를 익히며 한시를 즐겨보세요.좋은 글을 한문으로 읽어 마음과 정신의 풍요로움을.... 이 시는 21번째 절기인 대설 즈음의 정경을 묘사한 시입니다. 내용:孤舟足乘興 (고주족승흥)閉戶更沈吟 (폐호경침음) 외로이 떠있는 배에 감흥이 일어서문 닫고 다시 시를 나직이 읊조리네.